- 공지사항
-
- 2023년도 KSLA 지정과제 참여 신청 접수 및 연구ㆍ조사 공모 안내(~10. 6까지)
- 조회수 18 / 2023년 09월 25일
- KSLA 사무국에서 알려드립니다.본 협의회는 정보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도서관의 당면과제와 현안에 대한 시의 적절한 업무 대응방안을 강구할 수 있도록 정회원을 대상으로 협의회 지정과제 참여 신청 접수 및 연구ㆍ조사 공모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오니 회원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다 음 - 가. 공모 내용 : 협의회 지정 또는 회원 자유 과제 1) 협의회 지정과제 참여 신청(택1) ① KSLA 홈페이지 개편을 위한 개선방안 ② 전문도서관 운영 유공 포상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2) 회원 자유 과제 나. 지원 자격 : KSLA 정회원 다. 연구비 지원 : 1개 과제 당 100만 원 지원 라. 지원 방법 : 해당 과제에 대한 붙임 자료 작성 후 10월 6일(금)까지 제출 1) 협의회 지정과제 참여 신청(붙임1 신청서 작성 후 회신) 2) 회원 자유 과제(붙임3 연구·조사 수행계획서 작성 후 회신) 마. 공모 선정 : 사업추진위원회 심사 및 이사회 승인 바. 의무 사항 : 결과보고서 제출 사. 권고 사항 : 2024년 한국전문도서관협의회 정기총회 발표(발표비 미지급) 아. 문의 및 접수처 : KSLA 사무국(전화 044-866-4496, 이메일 ksla@ksla.info) 붙임. 2023년도 KSLA 지정과제 참여 신청 접수 및 연구ㆍ조사 공모 안내. 끝.
- 책이음서비스 확대를 위한 참여도서관 수요조사 안내(~9.22까지)
- 조회수 70 / 2023년 09월 12일
-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국민들이 하나의 도서관 이용증으로 전국 책이음 참여도서관 이용 및 도서 대출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책이음서비스를 운영 중에 있으며, 2023년 7월 기준 전국 2,602개 도서관 참여 및 회원 536만명이 등록되어 있습니다.이와 관련하여, 전국 도서관 이용자 편의성 제고 및 책이음서비스 확대 등을 위하여 대학 및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책이음 참여 여부 등의 수요 파악 후 참여도서관 선정(3개관)을 통해 기술적, 행정적 지원을 하고자 다음과 같이 수요조사를 실시하오니 회원기관의 적극 참여 부탁드립니다. 가. 조사대상 : 전국 대학도서관 및 전문도서관 나. 조사기간 : '23. 9. 4.(월) ~ 9. 22.(금) 다. 조사내용 : 책이음서비스 참여 희망 여부, 도서관 운영현황 등 라. 조사방법 : 수요조사서 온라인(bi t.ly/책이음수요조사) 또는 이메일(eq150@korea.kr) 활용 마. 선정대상 : 책이음서비스 참여 희망돗관 중 3개관 선정 바. 지원내용 : 책이음서비스 연계 자료관리시스템 기능 개선 및 바코드 리더기 등 지원 사. 문 의 처 : 국립중앙도서관 정보기술기반과 이금화 주무관(02-3483-8877) 아. 협조사항 : 대학 및 전문도서관 공문 전파 협조 및 책이음 서비스 참여 독려붙임. 책이음 서비스 확대를 위한 참여도서관 수요조사 안내. 끝.
- 2024년 컨소시엄 품목 구독에 대한 KSLA 입장문 발표
- 조회수 123 / 2023년 09월 06일

- 행사보기

-
- 2023년 「전문도서관경영」교육 과정 실시
- 조회수 90 / 2023년 09월 04일
- 본 협의회는 지난 8월 31일(목)과 9월1일(금) 양일 간 2023년 「전문도서관경영」 교육을 시행하였다. 이번 교육은 31명의 회원 및 정보 관리 분야 종사자가 참석한 가운데 충남 공주시 LX 국토정보교육원에서 진행하였다. 이틀 간의 일정으로 계획된 금번 전문도서관경영 교육은 기존의 KSLA 「전문도서관경영」 교육과 달리 '도서관 옆 기록관'이라는 주제로 라이브러리뿐 아니라 아카이브를 공동 주제로 선정하여 개최되었다.교육 첫째 날은 전문도서관에서의 성과물 관리 체계와 성공 요소(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강소선), 기록학의 지평(부산대학교 설문원), 기록정보와 우리의 삶(한국국토정보공사 강구민) 순으로 진행되었고, 마지막은 LX 라키비움을 견학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다.교육 둘째 날은 인공지능 이해 및 발전/ChatGPT의 활용(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서동민), 디지털 아카이브의 활용과 현장의 실천(Rebel 9 김선혁) 강의를 끝으로 2023년 전문도서관경영 교육의 막을 내렸다. 교육 참석자들은 전문도서관과 기록학에 대한 개론과도 같은 강의부터 유관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큐레이션 기획자까지 다양한 강사의 강의를 통해 사고의 영역을 확장하고 아울러 다양한 시각에서 사서와 아키비스트를 바라볼 수 있는 가치있는 시간이 되었다고 평하였다. 한편 「전문도서관경영」 교육 과정은 현장 중심의 실무 교육을 통해 현장 사서의 직무 역량을 강화하고, 업무 기반이 약한 소규모 도서관 지원을 목적으로 매년 회원 대상의 수요 조사와 이슈를 바탕으로 주제를 선정하여 매년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본 교육의 강의 자료는 협의회 홈페이지 [교육연구자료] → [전문도서관경영]에 게시되어 있다.<전문도서관경영 교육 단체 사진><전문도서관경영 교육 사진>
